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1. 한국어문회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의 한자 수는 **읽기 한자(인정한자)**와 **쓰기 한자(쓰기 시험에 출제되는 한자)**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주로 인정한자(읽기) 기준입니다. (일부 급수는 쓰기 한자 포함)

급수 배정 한자 수
(총 한자)
공인 여부
특급 5,978자 국가공인
특급Ⅱ (준특급) 4,918자 국가공인
1급 3,500자 국가공인
2급 2,355자 국가공인
3급 1,817자 국가공인
3급Ⅱ (준3급) 1,500자 국가공인
4급 1,000자 민간 자격
4급Ⅱ (준4급) 750자 민간 자격
5급 500자 민간 자격
5급Ⅱ (준5급) 400자 민간 자격
6급 300자 민간 자격
6급Ⅱ (준6급) 225자 민간 자격
7급 150자 민간 자격
7급Ⅱ (준7급) 100자 민간 자격
8급 50자 민간 자격
참고: 한국어문회는 특급, 준특급, 1급, 2급, 준3급, 3급이 국가공인 급수입니다.
 
 

2. 한국한자실력평가원 (한자실력급수자격시험)

한국한자실력평가원의 배정 한자 수는 '선정 한자'와 '직업분야별 실용한자어/교과서 한자어'를 합한 '평가 한자' 기준으로 제시됩니다.

급수 선정한자 직업분야별 실용한자어/
교과서 한자어
평가한자
(총 한자)
공인 여부
사범 5,000자 - 5,000자 국가공인
1급 3,500자 500단어 (선정한자 수에 포함) 3,500자 국가공인
2급 2,300자 500단어 (선정한자 수에 포함) 2,300자 국가공인
3급 1,300자 500자 1,800자 국가공인
준3급 1,000자 350자 1,350자 민간 자격
4급 700자 200자 900자 민간 자격
준4급 500자 200자 700자 민간 자격
5급 300자 150자 450자 민간 자격
준5급 150자 100자 250자 민간 자격
6급 70자 100자 170자 민간 자격
7급 50자 70자 120자 민간 자격
8급 30자 20자 50자 민간 자격
참고: 한국한자실력평가원은 사범, 1급, 2급, 3급이 국가공인 급수입니다.
 
 

3.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검정)

대한검정회의 배정 한자 수는 각 급수별로 추가되는 신출 한자를 포함한 총 한자 수입니다.

급수 배정 한자 수
(총 한자)
공인 여부
사범 (별도 기준) 국가공인
1급 3,500자 이상 국가공인
준1급 2,500자 이상 국가공인
2급 2,000자 이상 국가공인
준2급 1,800자 이상 국가공인
3급 1,300자 이상 민간 자격
준3급 1,000자 이상 민간 자격
4급 750자 이상 민간 자격
준4급 500자 이상 민간 자격
5급 300자 이상 민간 자격
준5급 100자 (신출 30자 포함) 민간 자격
6급 70자 (신출 20자 포함) 민간 자격
7급 50자 (신출 20자 포함) 민간 자격
8급 30자 (신출 30자) 민간 자격
참고: 대한검정회는 사범, 1급, 준1급, 2급, 준2급이 국가공인 급수입니다. 8급부터 준5급까지는 총 한자 수가 명확히 제시되어 있으며, 낮은 급수에서는 한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요약:

  • 한국어문회: 급수 체계가 가장 세분화되어 있으며, 쓰기 한자를 별도로 명시하기도 합니다. 국가공인은 특급~3급입니다.
  • 한국한자실력평가원: '선정한자'와 '실용한자어'를 합한 '평가한자' 개념을 사용하며, 사범~3급이 국가공인입니다.
  • 대한검정회: 낮은 급수는 총 한자 수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사범~준2급이 국가공인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한국어문회 제110회는 서울, 경기 지역은 고사장이 다 마감된 거 같습니다. 취소하는 분이 나오면 접수 가능한지는 문의해봐야 겠네요.

1. 한국어문회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는 정기 시험과 수시 시험을 운영합니다.

  • 제110회 정기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 접수 기간: 2025년 7월 14일 (월) ~ 2025년 7월 18일 (금) (인터넷 접수만 시행)
    • 시험 일시: 2025년 8월 23일 (토)
    • 합격 발표: 2025년 9월 19일 (금)
  • 제111회 정기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 접수 기간: 2025년 10월 13일 (월) ~ 2025년 10월 17일 (금) (인터넷 접수만 시행)
    • 시험 일시: 2025년 11월 15일 (토)
    • 합격 발표: 2025년 12월 12일 (목)
  • 제19회 수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 접수 기간: 2025년 7월 19일 (토) ~ 2025년 7월 21일 (월) (인터넷 접수만 시행)
    • 시험 일시: 2025년 8월 23일 (토)
    • 합격 발표: 2025년 9월 19일 (금)

2. 대한상공회의소 (상공회의소한자)

대한상공회의소 한자 시험은 상시 시험으로 운영됩니다.

  • 2025년 상시 자격시험
    • 접수 시작: 2025년 1월 1일 (수)
    • 최초 시험일: 서울 지역 - 2025년 1월 6일 (월), 서울 외 지역 - 2025년 1월 8일 (수)
    • 시험 개설: 시험 개설일로부터 시험일 4일 전까지 접수 가능.
    • 합격 발표: 필기 시험은 시험일 다음 날 오전 10시 발표. (실기 시험은 매주 수요일~그 다음주 화요일 시험의 합격자를 그로부터 2주 후 화요일 오전 10시에 발표 - 한자는 필기시험만 해당)

정확한 시험일은 수시로 변동될 수 있으므로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3. 한국한자실력평가원 (한자실력급수자격시험)

  • 제121회 한자실력급수 자격시험
    • 접수 기간: 2025년 7월 15일 (화) ~ 2025년 7월 24일 (목)
    • 시험 일시: 2025년 8월 23일 (토)
    • 합격자 발표: 2025년 9월 18일 (목)
  • 제122회 한자실력급수 자격시험
    • 접수 기간: 2025년 10월 14일 (화) ~ 2025년 10월 23일 (목)
    • 시험 일시: 2025년 11월 22일 (토)
    • 합격자 발표: 2025년 12월 18일 (목)

4.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검정)

  • 제108회 한자급수자격검정 (현장시험)
    • 접수 기간: 2025년 6월 16일 (월) ~ 2025년 7월 4일 (금)
    • 시행일: 2025년 8월 23일 (토)
    • 합격자 발표: 2025년 9월 15일 (월) 오전 10시
  • 제109회 한자급수자격검정 (현장시험)
    • 접수 기간: 2025년 9월 15일 (월) ~ 2025년 10월 3일 (금)
    • 시행일: 2025년 11월 22일 (토)
    • 합격자 발표: 2025년 12월 15일 (월) 오전 10시
  • 대한검정회 자기주도형 온라인 시험 (온라인)
    • 제108회 한자급수 자격검정 시험
      • 시행일: 2025년 8월 9일 (토)
      • 접수기간: 2025년 7월 7일 (월) ~ 2025년 7월 13일 (일)
      • 합격자 발표: 2025년 8월 25일 (월) 오전 10시

5. 한국정보관리협회 (한자어능력)

한국정보관리협회 한자어능력 시험의 2025년 상세 정기 시험 일정은 검색 결과에서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상시 시험으로 운영되거나 시험 일정이 유동적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한국정보관리협회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하여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사항:

  • 위 일정은 기관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접수 및 시험 시간, 장소 등의 세부 사항은 각 기관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일부 시험은 고사장별 접수 인원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2025-07-08 last update

Los Angeles Clippers 2025-26 expected rotations.
25-26시즌 엘에이 클리퍼스의 예상 멤버를 알아보자!

 

어제 글을 썼는데, 오늘 파월이 마이애미로 갔다. 터지면 무서운 외곽포도 여전하지만 포스트가 어마어마하게 보강됐다. 모두가 함께하면 무섭지만, 그런 경기가 몇 경기가 될지..(어랏, 레너드가 그래도 68경기나..?)

밤사이 트레이드를 보면, 아래와 같다.

클리퍼스 GET: 존 콜린스
마이애미 GET: 노먼 파웰
유타 GET: 케빈 러브, 카일 앤더슨, 2027년 2라운드 픽

클리퍼스는 골밑을 보강했고(기사에 따르면 브래들리 빌도 노린다고?)
마이애미는 공격을 보강했고,
유타는 엇? 리빌딩인가? 그럼 마카넨은?

포인트 가드 (PG)

  • 주전: 제임스 하든 (James Harden) (24-25시즌: 70경기, 34.0분, 20.0득점, 9.1어시스트, 6.0리바운드, 1.2스틸)
  • 벤치: 크리스 던 (Kris Dunn) (24-25시즌: 75경기, 21.0분, 8.0득점, 4.0어시스트, 3.0리바운드, 1.5스틸) 
  • 벤치: 패티 밀스 (Patty Mills) (24-25시즌: 60경기, 12.0분, 4.0득점, 1.5어시스트, 1.0리바운드, 0.5스틸)

슈팅 가드 (SG)

  • 주전: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Bogdan Bogdanovic) (24-25시즌: 78경기, 28.0분, 14.0득점, 3.0어시스트, 3.0리바운드, 1.0스틸) 
  • 벤치: 아미르 코피 (Amir Coffey) (24-25시즌: 70경기, 15.0분, 6.0득점, 1.0어시스트, 2.0리바운드, 0.5스틸)

스몰 포워드 (SF)

  • 주전: 카와이 레너드 (Kawhi Leonard) (24-25시즌: 60경기, 33.0분, 24.0득점, 3.5어시스트, 6.5리바운드, 1.8스틸, 0.8블록)
  • 벤치: 데릭 존스 주니어 (Derrick Jones Jr.) (24-25시즌: 75경기, 22.0분, 8.0득점, 1.0어시스트, 3.5리바운드, 0.8블록)
  • 벤치: 니콜라 바툼 (Nicolas Batum) (24-25시즌: 78경기, 17.5분, 4.0득점, 1.1어시스트, 2.8리바운드, 0.5블록)

파워 포워드 (PF)

  • 주전: 존 콜린스 (John Collins) (24-25시즌: 40경기, 30.5분, 19.0득점, 2.0어시스트, 8.2리바운드, 1.0블록) 
  • 벤치: 코비 브라운 (Kobe Brown) (24-25시즌: 40경기, 10.0분, 3.0득점, 0.5어시스트, 2.0리바운드, 0.3블록) 
  • 벤치: 패트릭 볼드윈 주니어 (Patrick Baldwin Jr.) (24-25시즌: 30경기, 8.0분, 2.5득점, 0.5어시스트, 1.5리바운드, 0.2블록)

센터 (C)

  • 주전: 이비카 주바치 (Ivica Zubac) (24-25시즌: 75경기, 28.0분, 11.0득점, 1.5어시스트, 9.0리바운드, 1.0블록)
  • 주전: 브룩 로페즈 (Brook Lopez) (24-25시즌: 80경기, 31.8분, 13.0득점, 1.8어시스트, 5.0리바운드, 1.9블록)
  • 벤치: 드류 유뱅크스 (Drew Eubanks) (24-25시즌: 65경기, 15.0분, 6.0득점, 0.8어시스트, 4.0리바운드, 0.8블록) 

 

선수 평가 등은 Google Gemini 의 도움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Ayton signed with LAL

Basketball 2025. 7. 3. 13:09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디안드레 에이튼이 LA Lakers와 계약했다는 소식과 함께, 다음 시즌 LA Lakers의 로스터를 정리해보았습니다.
With the news that Deandre Ayton has signed with the LA Lakers, here's a look at the LA Lakers' roster for next season.

LA 레이커스 2025-26시즌 예상 로스터 및 24-25시즌 스탯

포인트 가드 (PG)

  • 주전: 루카 돈치치 (Luka Doncic)
    • 24-25시즌 스탯 (28경기): 28.2 PTS, 8.1 REB, 7.5 AST, 1.6 STL
    • (참고: 돈치치는 2024-25시즌 중 트레이드로 레이커스에 합류했습니다.)
  • 벤치: 게이브 빈센트 (Gabe Vincent)
    • 24-25시즌 스탯 (72경기): 6.4 PTS, 1.3 REB, 1.4 AST, 0.7 STL
  • 벤치: 브로니 제임스 (Bronny James)
    • 24-25시즌 스탯 (27경기): 2.3 PTS, 0.7 REB, 0.8 AST

슈팅 가드 (SG)

  • 주전: 오스틴 리브스 (Austin Reaves)
    • 24-25시즌 스탯 (73경기): 20.2 PTS, 4.5 REB, 5.8 AST, 1.1 STL
  • 벤치: 달튼 크네치트 (Dalton Knecht)
    • 24-25시즌 스탯 (78경기): 9.1 PTS, 2.8 REB, 0.8 AST
  • 벤치: 쉐이크 밀턴 (Shake Milton)
    • 24-25시즌 스탯 (57경기): 5.5 PTS, 1.8 REB, 1.8 AST

스몰 포워드 (SF)

  • 주전: 르브론 제임스 (LeBron James)
    • 24-25시즌 스탯 (70경기): 24.4 PTS, 7.8 REB, 8.2 AST, 1.0 STL
  • 벤치: 자레드 밴더빌트 (Jarred Vanderbilt)
    • 24-25시즌 스탯 (36경기): 4.1 PTS, 5.1 REB, 1.1 AST

파워 포워드 (PF)

  • 주전: 루이 하치무라 (Rui Hachimura)
    • 24-25시즌 스탯 (59경기): 13.1 PTS, 5.0 REB, 1.4 AST
  • 벤치: 도리안 피니-스미스 (Dorian Finney-Smith)
    • 24-25시즌 스탯 (43경기): 7.9 PTS, 3.6 REB, 1.4 AST
  • 벤치: 맥시 클리버 (Maxi Kleber)
    • 24-25시즌 스탯 (34경기): 3.0 PTS, 2.8 REB, 1.3 AST

센터 (C)

  • 주전: 디안드레 에이튼 (Deandre Ayton)
    • 24-25시즌 스탯 (40경기): 14.4 PTS, 10.2 REB, 1.6 AST, 1.0 BLK, 0.8 STL
  • 벤치: 잭슨 헤이즈 (Jaxson Hayes)
    • 24-25시즌 스탯 (56경기): 6.8 PTS, 4.8 REB, 1.0 AST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In (영입)

  • 캠 존슨 (Cam Johnson): 브루클린 네츠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영입되었습니다. 마이클 포터 주니어와 2032년 1라운드 드래프트 지명권을 내주고 영입한 것으로, 공격과 수비 모두에서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정확한 3점슛이 덴버의 공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요나스 발란슈나스 (Jonas Valanciunas): 새크라멘토 킹스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영입되었습니다. 다리오 사리치를 내주고 데려왔으며, 벤치 빅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 브루스 브라운 (Bruce Brown): 팬들에게도 익숙한 브루스 브라운이 1년 베테랑 미니멈 계약으로 다시 덴버에 합류했습니다. 팀에 필요한 포지션 유연성을 제공할 것입니다.
  • 팀 하더웨이 주니어 (Tim Hardaway Jr.): 1년 베테랑 미니멈 계약으로 덴버에 합류했습니다. 슈팅 능력을 통해 벤치 뎁스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타마르 베이츠 (Tamar Bates): 2025 NBA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지 않은 선수(undrafted free agency)로, 투웨이 계약을 맺었습니다. 뛰어난 슈팅 능력을 가진 가드로, G리그와 NBA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기회를 얻게 됩니다.
  • 스펜서 존스 (Spencer Jones): 투웨이 퀄리파잉 오퍼를 받았으며, 제한적 FA(restricted free agent)가 되어 잔류 가능성이 있습니다.

Out (방출 및 이적)

  • 마이클 포터 주니어 (Michael Porter Jr.): 브루클린 네츠로 트레이드되었습니다. 덴버 입장에서는 그의 고액 계약 부담을 덜고 새로운 전력을 보강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다리오 사리치 (Dario Saric): 요나스 발란슈나스 트레이드에 포함되어 새크라멘토 킹스로 이적했습니다.
  • 트레이 알렉산더 (Trey Alexander): 너기츠에 잔류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지난 시즌 G리그 올해의 신인으로 선정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 팀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 PJ 홀 (PJ Hall): 너기츠에서 방출되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릴라드 방출!!! 소식에 알아본 최근 밀워키 벅스의 in&out
Lillard Release!!! Recent In&Out of Milwaukee Bucks

Out (방출/이적)

  • 데미안 릴라드 (Damian Lillard): 2025년 7월 1일(미국 시간) 밀워키 벅스는 데미안 릴라드를 방출하고, 그의 잔여 계약 1억 1300만 달러를 5년에 걸쳐 분할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샐러리캡을 확보하여 마일스 터너를 영입하기 위함입니다. 릴라드는 5월 초에 아킬레스건 파열 수술을 받았으며, 다음 시즌 대부분을 결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브룩 로페즈 (Brook Lopez): 밀워키 벅스에서 7시즌을 보낸 브룩 로페즈는 LA 클리퍼스와 계약하며 팀을 떠났습니다.
  • 팻 코너튼 (Pat Connaughton): 팻 코너튼은 샬럿 호네츠로 트레이드되었습니다. 이 트레이드에는 샬럿의 바실리예 미치치(Vasilije Micić)와 벅스의 2031년, 2032년 2라운드 지명권이 포함되었습니다.
  • 크리스 미들턴 (Khris Middleton): 2025년 2월 6일, 크리스 미들턴은 AJ 존슨과 함께 워싱턴 위저즈로 트레이드되었습니다.

In (영입/트레이드/재계약)

  • 마일스 터너 (Myles Turner): 데미안 릴라드 방출로 확보한 샐러리캡을 통해 인디애나 페이서스의 베테랑 센터 마일스 터너와 4년 1억 700만 달러(약 1461억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터너는 브룩 로페즈의 빈자리를 메울 것으로 보입니다.
  • 카일 쿠즈마 (Kyle Kuzma): 2025년 2월 6일, 워싱턴 위저즈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카일 쿠즈마와 패트릭 볼드윈 주니어, 그리고 2라운드 지명권을 영입했습니다. (이 트레이드에서 크리스 미들턴과 AJ 존슨이 워싱턴으로 이적했습니다.)
  • 바실리예 미치치 (Vasilije Micić): 샬럿 호네츠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팻 코너튼과 2개의 2라운드 지명권을 내주고 영입했습니다.
  • 바비 포티스 (Bobby Portis): 3년 4,400만 달러에 밀워키 벅스와 재계약하며 잔류를 확정했습니다.
  • 게리 트렌트 주니어 (Gary Trent Jr.): 재계약하며 팀에 잔류했습니다.
  • 케빈 포터 주니어 (Kevin Porter Jr.): 재계약하며 팀에 잔류했습니다.
  • 타우린 프린스 (Taurean Prince): 재계약하며 팀에 잔류했습니다.
  • 게리 해리스 (Gary Harris): 올랜도 매직의 자유계약선수 가드 게리 해리스와 계약했습니다.
  • 제리코 심스 (Jericho Sims): 영입했습니다.
  • 보고류브 마르코비치 (Bogoljub Markovic): 2025년 NBA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47순위로 지명되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2025-26 시즌 덴버 너기츠 예상 로스터

감독:

  • 데이비드 아델만 (David Adelman) - 마이클 말론 감독 경질 후 정식 헤드 코치로 승격

주요 선수 (Guaranteed Contract 또는 Player Option 행사):

  • 니콜라 요키치 (Nikola Jokić) - C: 팀의 핵심이자 리그 최고의 선수. MVP급 활약을 계속할 것입니다.
  • 자말 머레이 (Jamal Murray) - PG: 요키치와 함께 팀의 공격을 이끌 주전 포인트 가드.
  • 애런 고든 (Aaron Gordon) - PF: 팀의 핵심 수비수이자 공수 겸장 포워드. 2025-26 시즌 선수 옵션을 행사하며 잔류합니다.
  • 캠 존슨 (Cam Johnson) - SF/PF: 마이클 포터 주니어 트레이드로 영입된 선수. 뛰어난 슈팅력으로 외곽 공격에 힘을 더할 것입니다.
  • 브루스 브라운 (Bruce Brown) - SG/SF: 1년 베테랑 미니멈 계약으로 복귀한 식스맨. 다재다능한 플레이로 벤치 구간에서 활력을 불어넣을 것입니다.
  • 다리오 사리치 (Dario Saric) - PF/C: 선수 옵션을 행사하며 잔류한 백업 빅맨.
  • 지크 은나지 (Zeke Nnaji) - PF/C: 운동 능력이 좋은 백업 빅맨으로, 팀 뎁스에 기여합니다.
  • 페이튼 왓슨 (Peyton Watson) - SF: 수비 잠재력이 뛰어난 젊은 포워드. 출전 시간을 늘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 줄리안 스트로더 (Julian Strawther) - SG/SF: 슈팅에 강점이 있는 젊은 슈팅 가드.
  • 제일런 피켓 (Jalen Pickett) - PG: 2023년 드래프티로, 백업 포인트 가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헌터 타이슨 (Hunter Tyson) - SF/PF: 슈팅과 리바운드가 좋은 포워드로, 벤치 뎁스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조엘 음팡구 (Joel Mpemba) - SF/PF: 2024년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선수 (프랑스 출신). 국제 선수 특성상 바로 NBA 로스터에 합류할지, 혹은 해외 리그에서 경험을 쌓을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FA 혹은 트레이드 가능성 높은 선수:

  • 크리스천 브라운 (Christian Braun) - SG/SF: 다음 시즌이 신인 계약 마지막 해입니다. 팀 연봉 총액 문제로 연장 계약이 어려울 수 있어 트레이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덴버는 그를 유지하려 노력할 것입니다.

예상 로스터 (포지션별):

  • 포인트 가드 (PG): 자말 머레이, 제일런 피켓
  • 슈팅 가드 (SG): 브루스 브라운, 크리스천 브라운
  • 스몰 포워드 (SF): 캠 존슨, 페이튼 왓슨, 줄리안 스트로더, 조엘 음팡구
  • 파워 포워드 (PF): 애런 고든, 다리오 사리치, 지크 은나지, 헌터 타이슨
  • 센터 (C): 니콜라 요키치, 디안드레 조던

로스터 구성 특징:

  1. 코어 유지: 요키치, 머레이, 고든으로 이어지는 핵심 3인방은 굳건히 유지됩니다.
  2. 공격력 보강: 캠 존슨과 브루스 브라운의 영입으로 외곽 슈팅과 벤치 득점력이 강화되었습니다.
  3. 수비 부담 분산: 포터 주니어의 이탈로 공격력 손실은 있지만, 캠 존슨과 브루스 브라운은 수비적으로도 기여도가 높은 선수들입니다.
  4. 젊은 유망주 성장: 페이튼 왓슨, 줄리안 스트로더 등 젊은 선수들이 더 많은 기회를 얻으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백업 센터 필요성: 현재 로스터에서 요키치의 확실한 백업 센터 자리가 부족해 보이며, FA 시장이나 추가 트레이드를 통해 보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글은 Google Gemini 의 도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3년 드래프트 3인방의 성장을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감독 변화 (Out & In)

  • 마이클 말론 (Michael Malone) - OUT:
    • 말론 감독은 2025년 4월 8일, 정규시즌 종료를 얼마 남기지 않고 전격 경질되었습니다. 2023년 팀의 첫 NBA 우승을 이끌었던 감독이었기에 충격적인 결정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 일부 보도에 따르면, 베테랑 선수 기용 문제와 같은 농구 철학 차이로 캘빈 부스 단장과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데이비드 아델만 (David Adelman) - IN:
    • 말론 감독 경질 이후 임시 감독을 맡았던 데이비드 아델만 코치가 2025년 5월 22일, 덴버 너기츠의 정식 헤드 코치로 승격되었습니다. 그는 임시 감독으로서 플레이오프 1라운드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능력을 인정받았습니다.
    • 아델만 감독 부임과 함께 코칭 스태프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2023년 우승 당시 함께했던 라이언 사운더스 (Ryan Saunders), 포파이 존스 (Popeye Jones), 찰스 클래스크 (Charles Klask), 스티븐 그레이엄 (Stephen Graham) 등 4명의 어시스턴트 코치의 계약이 갱신되지 않을 예정이라고 보도되었습니다. 새로운 코칭 스태프가 구성될 것입니다.

선수 변화 (In & Out)

OUT (방출/이적):

  • 마이클 포터 주니어 (Michael Porter Jr.) - OUT (브루클린 네츠로 트레이드):
    • 덴버 너기츠는 주축 선수였던 마이클 포터 주니어를 브루클린 네츠로 트레이드했습니다. 이 트레이드에는 2032년 1라운드 픽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덴버는 이를 통해 대규모 계약을 덜어내고 로스터 유연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 러셀 웨스트브룩 (Russell Westbrook) - OUT (자유계약선수):
    • 지난 시즌 덴버에 합류했던 러셀 웨스트브룩은 346만 달러 규모의 선수 옵션을 거부하고 자유계약선수(FA) 시장에 나왔습니다. 1시즌 만에 덴버를 떠나게 되었으며, 현재 새크라멘토 킹스 등 다른 팀들과 만남을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블랏코 챈차르 (Vlatko Čančar) - OUT (계약 미갱신/FA):
    • 지난 시즌 부상으로 대부분 결장했던 챈차르는 계약이 만료되어 현재 FA 시장에 있습니다. 덴버는 그의 계약을 갱신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디안드레 조던 (DeAndre Jordan) - OUT (계약 미갱신/FA):
    • 노장 센터 디안드레 조던 역시 계약이 만료되어 FA가 되었습니다. 덴버가 그를 재영입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 드래프트 픽 - OUT (2025년 1라운드/2라운드 픽 없음):
    • 덴버는 2025년 NBA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픽과 2라운드 픽 모두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이는 과거 트레이드를 통해 픽을 내줬기 때문이며, 따라서 드래프트를 통해 신인 선수를 영입하지 못했습니다.

IN (영입):

  • 캠 존슨 (Cam Johnson) - IN (브루클린 네츠에서 트레이드):
    • 마이클 포터 주니어 트레이드의 일환으로, 브루클린 네츠에서 캠 존슨을 영입했습니다. 존슨은 뛰어난 슈팅 능력과 수비력을 겸비한 포워드로, 포터 주니어의 빈자리를 메우고 팀의 3점슛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브루스 브라운 (Bruce Brown) - IN (자유계약선수):
    •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던 브루스 브라운이 1년 베테랑 미니멈 계약으로 덴버 너기츠에 복귀했습니다. 그는 2023년 우승 당시 핵심 식스맨으로 활약하며 다재다능함을 뽐냈습니다. 지난 시즌 인디애나, 토론토, 뉴올리언스를 거치며 팀을 옮겼지만, 다시 덴버로 돌아오며 팀의 벤치 뎁스와 활력을 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다리오 사리치 (Dario Saric) - IN (선수 옵션 행사로 잔류):
    • 포워드-센터인 다리오 사리치는 2025-26 시즌 계약의 선수 옵션을 행사하여 덴버에 잔류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약 540만 달러의 연봉을 받을 예정이며, 벤치 뎁스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언드래프티드 자유계약선수 (Undrafted Free Agents) - IN:
    • 덴버는 2025년 드래프트 이후, 아이오와 스테이트 대학의 커티스 존스 (Curtis Jones)와 미주리 대학의 타마 베이츠 (Tamar Bates)를 포함한 몇몇 언드래프티드 선수들과 계약했습니다. 이들이 정식 로스터에 포함될지는 서머리그와 프리시즌을 통해 지켜봐야 합니다.

주목할 선수:

  • 크리스천 브라운 (Christian Braun): 다음 시즌이 신인 계약 마지막 해입니다. 덴버는 현재 연봉 총액이 높아 연장 계약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트레이드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 애런 고든 (Aaron Gordon): 2025-26 시즌 선수 옵션을 수락하여 덴버에 잔류합니다. 팀의 핵심 선수로서 역할을 이어갈 것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 케빈 듀란트 트레이드 (피닉스 선즈 ↔ 휴스턴 로케츠):
    • 휴스턴 로케츠 영입: 케빈 듀란트
    • 피닉스 선즈 영입: 제일런 그린, 딜런 브룩스, 2025년 드래프트 10번 픽 (카만 말루아치), 5장의 미래 2라운드 픽 (2025년 1장, 2026년 2장, 2030년 1장, 2032년 1장)
    • 특징: 이 트레이드는 7월 7일에 최종 완료될 예정입니다.
  •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트레이드 (보스턴 셀틱스 ↔ 애틀랜타 호크스 ↔ 브루클린 네츠):
    • 애틀랜타 호크스 영입: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2031년 클리블랜드 2라운드 픽
    • 보스턴 셀틱스 영입: 조지스 니앙, 2026년 보스턴 2라운드 픽 (보스턴이 브루클린에 주는 픽으로 추정)
    • 브루클린 네츠 영입: 테렌스 맨, 2025년 드래프트 22번 픽 (드레이크 파월)
  • 즈루 할리데이 트레이드 (보스턴 셀틱스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영입: 즈루 할리데이
    • 보스턴 셀틱스 영입: 앤퍼니 사이먼스, 2장의 미래 2라운드 픽
  • 데스몬드 베인 트레이드 (멤피스 그리즐리스 ↔ 올랜도 매직):
    • 올랜도 매직 영입: 데스몬드 베인
    • 멤피스 그리즐리스 영입: 켄타비우스 칼드웰-포프, 콜 앤서니, 4장의 1라운드 픽 (2025, 2026, 2028, 2030), 2029년 1라운드 픽 스왑 권리
  • CJ 맥컬럼 트레이드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 워싱턴 위저즈):
    • 워싱턴 위저즈 영입: CJ 맥컬럼, 켈리 올리닉, 2027년 시카고 2라운드 픽
    •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영입: 조던 풀, 새딕 베이, 2025년 드래프트 40번 픽 (마이카 피비)
  • 론조 볼 트레이드 (시카고 불스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영입: 론조 볼
    • 시카고 불스 영입: 아이작 오코로
  • 마이클 포터 주니어 트레이드 (덴버 너기츠 ↔ 브루클린 네츠):
    • 브루클린 네츠 영입: 마이클 포터 주니어, 2032년 1라운드 픽
    • 덴버 너기츠 영입: 캠 존슨
  • 마크 윌리엄스 트레이드 (샬럿 호네츠 ↔ 피닉스 선즈):
    • 피닉스 선즈 영입: 마크 윌리엄스
    • 샬럿 호네츠 영입: 바실리예 미치치, 2025년 드래프트 29번 픽 (리암 맥닐리), 2029년 1라운드 픽, 2029년 피닉스 2라운드 픽
  • 딜런 존스 트레이드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 워싱턴 위저즈):
    • 워싱턴 위저즈 영입: 딜런 존스, 2029년 휴스턴 2라운드 픽
    •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영입: 콜비 존스

바이아웃 및 재계약 소식:

  • 디안드레 에이튼: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와 계약 바이아웃 협상 중. 혹시 LAL 이?
  • 바비 포티스: 밀워키 벅스와 3년 4,400만 달러 재계약 합의.
  • 줄리어스 랜들: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와 3년 1억 달러 연장 계약 합의.
  • 제이린 윌리엄스: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와 3년 2,400만 달러 재계약 합의.
  • 아제이 미첼: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와 3년 900만 달러 재계약 합의.
  • 다비온 미첼: 마이애미 히트와 2년 2,400만 달러 계약 합의 의사 표명.
  • 니콜라스 바툼: 클리퍼스와의 선수 옵션 거부 후 FA 시장 진입.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소프트웨어 테스터를 위한 자격증은 크게 국내 자격증과 국제 자격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1. ISTQB (International Software Testing Qualifications Board)

  • 국제 자격증: 전 세계 130여 개국 이상에서 통용되며,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소프트웨어 테스팅 전문가 자격증입니다. 해외 취업을 고려하거나 글로벌 기업에서 일하고 싶다면 더욱 유용합니다.
  • 단계별 구성:
    • Foundation Level (CTFL): 테스팅의 기본 개념과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는 입문 수준의 자격증입니다. 실무 경험이 없어도 취득 가능합니다.
    • Advanced Level (CTAL): Foundation Level 자격증을 보유하고 관련 경력이 있는 전문가를 위한 심화 과정입니다. 테스트 매니저(Test Manager), 테스트 분석가(Test Analyst), 기술 테스트 분석가(Technical Test Analyst) 등 여러 모듈로 나뉩니다.
    • Expert Level (CTEL): 가장 높은 수준의 자격증으로,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가진 전문가를 대상으로 합니다.
  • 특징:
    • 실무 중심의 예시를 들어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애자일 테스팅(Agile Tester), AI 테스팅(AI Testing), 게임 테스팅(Game Testing) 등 다양한 전문 분야(Specialist module) 자격증도 있습니다.
  • 국내 주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KSTQB)에서 ISTQB 시험을 주관합니다.

2. CSTS (Certified Software Test Specialist)

  • 국내 자격증: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주관하는 국내 소프트웨어 테스트 전문가 자격증입니다.
  • 단계:
    • 일반등급 (Foundation Level):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기술이론 지식을 갖추고 테스트 프로세스를 이해하며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검정합니다.
    • 고급등급 (Advanced Level): 일반등급 취득 후 일정 경력을 쌓으면 응시할 수 있습니다.
  • 특징:
    • ISTQB에 비해 이론 중심적인 문제 출제 경향이 있습니다.
    • 응시료가 ISTQB보다 저렴한 편입니다.

어떤 자격증을 선택해야 할까요?

  • 신입이거나 테스트 분야에 처음 입문하는 경우:
    • ISTQB CTFL 또는 CSTS 일반등급을 추천합니다. 두 자격증 모두 기본적인 테스팅 지식을 다루므로, 어느 것을 선택하든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기초를 다지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해외 취업이나 글로벌 기업을 염두에 둔다면 ISTQB CTFL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 경력자이거나 심화 지식을 원하는 경우:
    • ISTQB CTAL 또는 CSTS 고급등급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본인의 전문 분야와 관심사에 따라 ISTQB의 세부 모듈을 선택하는 것도 좋습니다.

자격증의 필요성:

테스터 자격증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기본 지식 습득: 테스팅 분야의 표준화된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취업 및 경력 개발: 채용 시 우대 사항이 되거나, 전문성을 증명하여 경력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이나 외국계 기업에서 자격증을 우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전문성 인정: 소프트웨어 테스팅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시험 일정 및 내용은 각 주관 기관의 공식 홈페이지(KSTQB, TTA 아카데미)에서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반응형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5) 2025.06.18
FIDO(Fast Identity Online)  (1) 2025.01.02
IT 프리랜서를 하면서 주의할 점  (0) 2023.04.28
(두 번째) PMO 프로젝트를 마치며..  (0) 2022.11.30
한글 단축키  (0) 2016.04.26
Posted by So Goo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