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 GxP

사는 이야기 2020. 9. 17. 10:13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GxP(Good x Practices)


The "x" stands for the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pharmaceutical and food industries,

for example good agricultural practice, or GAP.

- 의약품, 의료 기기 및 의료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식품 및 의료 제품을 제조하는 생명 과학 조직에 적용되는 규제와 지침
- GxP는 GLP(Good Laboratory Practices), GCP(Good Clinical Practices),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 등과 같은 규정 준수 관련 활동을 광범위하게 포함
- 각 규정에는 1) 생산 제품의 유형과 2) 제품이 판매되는 국가/지역에 따라 생명 과학 조직이 구현해야 하는 제품별 요구 사항이 명시
- 생명 과학 조직이 특정 GxP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GxP 컴퓨터 시스템이 시스템의 사용 목적에 맞게 개발, 검증 및 운영되는지 확인해야 함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참고) 3-way handshaking(TCP)

 

 

* 공격기법

 

1. 공격자(node)는 유효하지 않은 IP로 연결 요청 패킷을 지속적으로 전송

 

2. Server는 연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각각 패킷에 대해 SYN/ACK 패킷 전송

 

3. 유효하지 않은 IP주소 이므로 응답(ACK)이 없음

 

4. Server는 응답(ACK)을 기다리며 각각 패킷에 대해 자원할당(Backlog Queue)

 

5. Server의 자원 고갈로 시스템 다운

 

* 방지기법

 

 - 서버 설정

 

1. 연결요청 큐(Backlog Queue)를 늘려줌

 

2. 접속타임아웃(CTO, Connection Time-Out)을 줄여줌

 

3. 세션 수 제한

 

 - 방화벽 설정

 

4. syncookies 기능 활성

 - 연결 설정이 완료될때까지 서버의 자원할당을 연기

 - 3-way handshaking이 성공해야 연결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프로젝트 3중 제약(triple constraints)


- 프로젝트 속성으로서 상호간 상충관계(trade-off)를 가짐(하나가 변하면 다른 것도 같이 변함)

- 품질에 영향을 미침

- 범위(scope), 일정(time), 예산/원가(cost)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프로젝트 > 프로그램 > 포트폴리오

 


- 프로젝트 : 유일한 제품, 결과,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수행되는 일시적인 노력, 일시성/고유성/점진적 상세화

- 프로그램 : 상호 관련된 프로젝트들의 집합

- 포트폴리오 : 프로젝트 혹은 프로그램들의 집합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 정보시스템 감리 대상

1)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행정업무 또는 민원처리용 사용

2) 다수의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구축 또는 사용하는 경우

3) 공공기관의 연계 또는 공동 이용이 필요한 경우

4)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으로 사업비가 5억원 이상인 경우

 

* PMO 수행 시 감리 생략 가능한 경우

1) 사업비 5억원 미만인 전자정부 사업으로

   -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행정업무 또는 민원업무 처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나

   - 여러 행정기관 등이 공동으로 구축, 사용하는 경우

2) 사업기간이 5개월 미만인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인 경우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2. 네트워크 개요

 

* 네트워크 토폴로지 유형

 - 토폴로지

: 위상, 네트워크 배치 방식, 노드와 링크로 구성

: mesh, bus, star, ring

 

1) mesh(그물형)

- 모든 노드가 다른 노드에 point-to-point 링크

- 장점 : 안전성↑, 보안성↑, 결함의 식별과 분리가 쉬움

  단점 : 비용↑

 

 

2) bus

- 모든 노드가 multipoint로 연결

- 장점 : 설치 간단

  단점 : 멀리있는 노드일수록 신호가 약해짐, 노드의 이동과 삭제가 어려움

- 동축케이블로 이더넷 구성

 

 

3) star

- 각 노드는 허브와 point-to-point 링크

- 장점 : 비용↓, 안전성↑, 하나의 링크가 끊어져도 전체 시스템 영향 적음, 노드의 이동과 제거 용이

- UTP선으로 이더넷 구성

 

 

4) ring

- 각 노드는 양쪽 노드와 point-to-point 링크

- 각 노드는 중계기 역할

- 장점 : 설치와 재구성 용이

  단점 : 하나의 링크가 끈헝지면 전체 네트워크 장애(그래서 이중화 함)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10. 네트워크 장비

1) 1계층(물리 계층)

  - 리피터
  : 약화되거나 일부 훼손된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 비트 형태로 재생

  - 허브 
  : 멀티포트 리피터

  - 리피터와 허브는 MAC 주소, IP 주소를 필터링 할 수 없음

2)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

  - 브리지(L2 스위치) 
  :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 필터링 기능(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검사하여 포워딩 할지를 결정)

3) 3계층(네트워크 계층)

  - 라우터(L3 스위치)

4) 4계층(전송 계층)

  - L4 스위치
  : TCP/UDP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트래픽을 분류하고 경로를 설정
  : TCP/UDP 헤드를 보고 FTP, HTTP, SMTP인지 알 수 있음 
   -> 어느 것을 우선시 하여 스위칭 할지 판단 가능
   -> 로드 밸런싱 등의 부가서비스 기능

  - L4 스위치의 주요 기능
  : 부하분산 - 정적 부하분산(미리 부하분산 방법을 정해놓음), 동적 부하분산(실시간으로 부하 분산)
  : 캐싱 서비스
  : 서비스 연결 - 서비스 포트를 보고 서비스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
  : QoS - 서비스 포트를 이용해 어플리케이션 중요도에 따른 QoS 보장
  : 보안 - 서비스에서 서비스하지 않는 포트에 관련된 패킷은 앞 단위에서 drop 시킬 수 있음

5) 5~7계층

  - L7스위치 
  :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바탕으로 지능적으로 트래픽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스위치 장비

  - URL partitioning 로드 밸런싱
  : 컨텐츠에 들어있는 URL을 분석하여 컨텐츠가 요청하는 컨텐츠를 각각 다른 서버에서 가져오는 것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recently 최근에(1회성)

lately 요즘에(지속성, 완료형)

these days 요즘에(지금 현재)
 
nowadays (예전과는 다른 현재) 요즘에
 
currently 현재는(현재 상황)
 
 
I was promoted recently.
최근에 나 승진했어.(1회성)

So, I've been busy lately.
그래서 요즘에 바빠졌어.(완료형)
 
I'm very busy these days.
그래서 요즘 많이 바빠.(현재진행)
 
I wasn't busy before but nowadays I'm very busy.
예전에는 바쁘지 않았는데 요즘에는 매우 바빠. (예전과는 다른 요즘)

I will not be busy tomorrow, I'm very busy currently.
내일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지금은 매우 바빠. (현재 상황)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MS Excel과 2가지가 다르네요.

 

첫번째는

 

MS Excel은 행과 열을 한번에 고정할 수 있는데,

 

구글 스프레드시트는 행과 열을 각각 지정해야 하고

 

 

두번째는 MS Excel은 선택된 셀 왼쪽과 윗쪽으로 틀 고정이 되는데

 

구글 스프레드시트는 선택된 셀의 오른쪽과 아랫쪽으로 틀 고정이 되네요.

 

 

1. 열 고정

 

보기 > 고정 > 현재 행까지

 

적용 되면 고정된 행에 굵은 엷은 색 선으로 고정된 행 구분

 

2. 행 고정

 

보기 > 고정 > 현재 열까지

적용 되면 고정된 열에 굵은 엷은 색 선으로 고정된 열 구분

 

 

반응형

'Office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목차 만들기  (0) 2022.01.28
셀 서식을 사용한 날짜, 요일 표기 법  (0) 2021.12.14
DATEDIF 함수  (0) 2020.05.13
SUMIF 함수, SUMIFS 함수  (0) 2014.10.16
COUNTIF 함수, COUNTIFS 함수  (0) 2014.10.16
Posted by So Good!
,

DATEDIF 함수

Office 이야기 2020. 5. 13. 20:55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XX년 XX개월 XX일 형식의 날짜를 구하는 함수

 

1. 구문

=DATEDIF(날짜1, 날짜2, "형식")

=DATEDIF(시작일, 종료일, "형식")

 

2. 형식

d : 날짜

m : 개월

y : 연

ym : 연수 제외 개월

md : 월수 제외 일수

3. 활용

XX년 XX개월 XX일 형식으로 표기

 

4. 주의

날짜1이 날짜2보다 크면 오류

즉, 시작일이 종료일보다 크면 오류

반응형
Posted by So Goo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