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SUBSTRING 함수가 MS-SQL 함수인지 모르고 같은 MS건에 왜 없냐고 궁시렁대며 엑셀에서 한참 찾아헤매던 지난 5분을 반성하며..

_ _)a



LEFT

 

문자의 왼쪽부터 텍스트를 잘라냄

LEFT(" or 문자", 잘라낼 글자 수)


 

 

RIGHT

 

문자의 오른쪽부터 텍스트를 잘라냄

RIGHT(" or 문자 "잘라낼 글자 수)


 

 

MID

 

문자의 중간부분 텍스트를 잘라냄

MID(" or 문자 ", 시작할 글자 순서, 잘라낼 글자 수)

 

첫번째 변수 : 셀이나 문자, 문자의 경우 “” 안에 묶음

두번째 변수 : 몇번째 글자부터 자를 것인가를 정하는 변수

세번째 변수 : 몇번째 자리까지 자를 것인가를 정하는 변수


※ 아래 예제 : 문자를 2번째 자리부터 2글자를 자르리라!


반응형

'Office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EDIF 함수  (0) 2020.05.13
SUMIF 함수, SUMIFS 함수  (0) 2014.10.16
COUNTIF 함수, COUNTIFS 함수  (0) 2014.10.16
최빈값 찾기(MODE 함수)  (2) 2014.10.07
IF함수, IF중첩  (0) 2012.03.27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위키피디아 정의(http://en.wikipedia.org/wiki/Systems_development_life-cycle)

The Systems development life cycle (SDLC), or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in systems engineering, information systems and software engineering, is a process of creating or altering information systems, and the models and methodologies that people use to develop these systems In software engineering the SDLC concept underpins many kinds of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ies. These methodologies form the framework for planning and controlling the creation of an information system[1]: th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발번역

(아놔..영어 싫어하는데..)

시스템 공학, 정보시스템 그리고 소프트웨어 공학에서의 SDLC(Systems/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는 정보시스템의 방법론, 설계, 개발, 변경의 프로세스이다.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SDLC 개념은 수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론들은 계획, 시스템 개발(프로세스)의 통제로 형성된다.


요약

소프트웨어의 개발 타당성 조사, 정의과정, 개발과정, 유지보수 과정, 폐기과정까지 전 과정을 하나의 주기로 보고, 단계별 공정을 체계화 시켜놓은 것. 기획>설계>개발>테스트>안정화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에 대해 정의하고 action과 산출물을 정의한 것.


반응형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RSS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이버 뉴스 구독하는 법  (0) 2015.03.20
POC  (0) 2015.02.27
TBD  (0) 2011.02.14
EUC(End User Computing)  (2) 2010.05.03
DRM (Data Reference Model) - 데이터 참조 모델  (0) 2010.02.17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간단히 말하면,

자동차 보험 : 민사보장

운전자 보험 : 형사보장


운전자 보험은 형사처벌이 되는 11대 중과실 사고에 대한 보장보험

11대 중과실 사고란?


1) 신호기가 표시하는 신호 또는 교통정리를 하는 경찰공무원 등의 신호를 위반하거나 통행금지 또는 일시정지를 내용으로 하는 안전표지가 표시하는 지시를 위반하여 운전했을 경우

2) 중앙선을 침번한 경우

3) 제한속도를 시속 20킬로미터 처과하여 운전한 경우

4) 앞지르기의 방법, 금지시기, 금지장소 또는 끼어들기의 금지를 위반하거나 고속도로에서 앞지르기 방법을 위반하여 운전한 경우

5) 철길건널목 통과방법을 위반하여 운전한 경우

6)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의무를 위반하여 운전한 경우

7) 운전면허 또는 건설기계조종사면허를 받지 아니하거나 국제운전면허증을 소지하지 아니하고 운전한 경우

8) 술에 취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거나 약물의 영향으로 정상적으로 운전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

9) 보도가 설치된 도로의 보도를 침범하거나 보도 횡단방법을 위반하여 운전한 경우

10) 승객의 추락 방지의무를 위반하여 운전한 경우

11)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어린이의 안전에 유의하면서 운전하여야 할 의무를 위반하여 어린이의 신체를 상해에 이르게 한 경우


운전 중 중과실 사고를 야기한 경우 형사처벌을 받게되며, 형사처벌에 필요한 합의금, 변호사선임비용, 벌금 등을 보장해주는 보험이 운전자보험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IF함수 

=IF(조건, 참일경우 반환값, 거짓일경우 반환값)



IF중첩

=IF(조건, 참일경우 반환값, (=IF(조건, 참일경우 반환값, 거짓일경우 반환값)))


즉, 경우의 수가 3개 이상인 경우 한 값을 기준으로 한번, 남은 2개의 값을 기준으로 다시 한번 조건을 검색하여 결과를 반환




위 예제는 해당 셀이 한식이면 국밥, 일식이면 초밥, 중식이면 볶음밥을 반환하는 IF 중첩 예제.

(만약 한식이면 국밥, 한식이 아니면, 일식이면 초밥 중식이면 볶음밥)


※ IF(밥이, 한식이면 볶음밥,(밥이일식이면 초밥, 아니면 볶음밥))







반응형

'Office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EDIF 함수  (0) 2020.05.13
SUMIF 함수, SUMIFS 함수  (0) 2014.10.16
COUNTIF 함수, COUNTIFS 함수  (0) 2014.10.16
최빈값 찾기(MODE 함수)  (2) 2014.10.07
엑셀 텍스트 자르기 (LEFT, RIGHT, MID)  (4) 2012.04.10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어느 분의 블로그에서 본 문구인데, 어느분이었는지, 무슨 내용이었는지

잘 기억은 안납니다.



늦게 가더라도 바르게 가자.




문구가 마음에 와닿아 이부분만 기억이 납니다.

다니던 대학을 휴학하고 재입시를 거쳐서

남들보다 늦다라는 생각에 

지름길만 생각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늦게 가더라도 (즐겁고) 바르게 가야겠습니다.






p.s. '일에는 때가 있다' 이말도 맞는것 같습니다.
p.s. 봄타나 봅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TBD

IT 이야기 2011. 2. 14. 13:40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TBD

'To Be Determined' 의 약자.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뜻.

주로 장소에 많이 쓰이며,

(IT용어로 분류한 이유는)

제안서 작성 시, 협력업체와 인력협의가 확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종종 사용.(기간과 등급, 개발 내용은 확정)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RBC(Risk-Based Capital, 위험기준자기자본)

- 의미
보험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총조정자본과 총필요자본액 간의 비율. 보험사가 안고 있는 각종 위험(보험,금리,시장,신용,운영리스크)을 정밀히 측정해 이에 상응하는 자기자본을 갖도록 요구하는 제도로 2011년 4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현행 지급여력비율 제도는 자산운용리스크와 보험리스크를 산출한 뒤 자기자본을 확보토록 요구하는 반면 RBC는 각 자산과 부채별 특성을 체계적으로 계산해 그만큼의 자기자본을 갖추도록 요구하고 있다.

- 동향
보험사의 지급여력 비율 산정시, 책임준비금 외에 자산과 신용, 금리 위험 등 각종 위험요인을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보험사가 예상하지 못한 손실의 발생에 대비하여 충격완충장치로서의 자기자본을 보유하게 하는 제도
재무건전성 평가기준으로 활용, RAAS 평가 지표료 활용, 지급여력비율에 따른 대외 신뢰도에 영향
금융감독원은 RBC제도 도입에 따른 생보업계와 손보업계의 자본 확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2년여 동안 단계적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

RAAS(Risk Assessment and Application System, 리스크기준 자기자본 규제)

- 의미
보험, 금리 리스크와 관련된 계량지표를 기존의 평가제도에 추가하고 자산부문도 시장 및 신용리스크를 구분하여 정밀하게 보험회사의 리스크를 평가하는 방법
리스크노출정도(RX), 리스크통제기능(RC), 리스크감내능력(RT)의 3가지 분류로 나누어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종합리스크 관리등급(RT)이 부여된다.

- 동향
금융감독원은 개별 보험사 각각의 리스크를 종합평가해 경영특성에 따라 감독 수준을 차별화하는 'RAAS'제도를 4월부터 시험적 도입.
보험사 경영활동에 수반되는 금리리스크 등 각종 리스크의 규모 및 관리능력을 계량적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감독, 검사업무에 활용할 예정
국내 모든 보험사에 대해 3개월마다 평가하고 올해는 시험운용인 만큼 현행 감독체계인 경영실태평가(CAMEL)와 병행해 나갈 예정

출처 : 구글검색 후 편집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가장 어려운 일


매일 내가 다니는 회사로 출근하면서,


내 책상에 앉아서,


내 데스크탑PC로 일을 하고,


익숙한 동네에서, 익숙한 식당에서, 익숙한 사람들과 점심을 먹고,


익숙한 업무를 하면서, 잘 하게 되고,


바쁠때 가끔은 나와도 좋지만 주말에 쉴 수 있는..

==================================================

마음이 참 잘 맞았던 이직한 회사 선임과 만나 이야기를 나눴던 적이 있었다.

'가니까 좋아요?' 라는 나의 물음에,

'가니까, 내 자리라고 안내해 주는데, 책상에 내이름이 써있는 출입증이 있더라'라고 답하셨다.

그땐, 그게 그렇게 부러운지 몰랐다.


- 밤도, 주말도, 명절도 잊은 사람들을 보면서..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주가지수연동 상품의 특성 또한, 영문명을 보면 간단히 유추할 수 있습니다.

주가지수를 연동한 예금, 증권, 펀드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구분 주가지수연동예금 주가지수연동증권 주가지수연동펀드
ELD : Equity-Linked Deposit ELS : Equity-Linked Securities ELF : Equrity-Linked Fund
상품형태 정기예금 유가증권 수익증권(펀드가입)
자금운용
구조
대출 + 유가증권 + 주가지수옵션 채권 + 주식워런트옵션 + 주가지수옵션 + 선물 펀드(포트폴리오)
원금보장
여부
만기 시 100% 만기 시 원금의 일정비율 원금보존추구형 실적배당
수익결정 사전에 약정한 확정수익 지급 사전에 약정한 확정수익 지급 유가증권 운용에 따른 수익지급
중도해지
가능여부
가능
(수수료 부담)
불가
(유가증권매매를 통해 현금화 가능)
가능
(일정기간 이내 환매 시, 환매수수료 부담)


다음 예상 글 내용 : ETF(지수연동펀드), ELW(주식워런트증권)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부터 확실히 짚고(외우고? 응?) 넘어가자.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주식과 채권 같은 전통적인 금융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품.

거래기법에 따라 선물, 옵션, 스왑 등으로 기초자산에 따라 통화, 금리, 주식, 신용, 실물 등으로 거래장소에 따라 장내/장외로 구분하지만 거래기법이나 기초자산의 복잡한 이합집산을 통해 다양한 상품들이 존재하며 본질적으로 고수익을 추구하는 대신 고위험이 수반된다.

파생상품의 주요목적은 위험을 감소시키는 헤지기능이나, 레버리지기능 또는 파생상품을 합성하여 새로운 금융상품을 만들어내는 신금융상품을 창조하는 기능들이 있다.

위 내용은 '다음 사전' 등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편집하여 정의한 내용입니다.

자, 이해 안되는 부분?

반응형
Posted by So Goo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