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유투브나 다른 블로그, 커뮤니티 등에서 많이 있는 동영상입니다.

몇 번 봤는데, 자주 꺼내볼것 같아 블로그에 담았습니다.


2003년 케빈가넷의 팬이 가넷의 이니셜(KG)을 몸에 적고 열성적인 응원으로 경기장에서 (점잖게) 퇴장

2007년 KG는 보스턴으로 이적

2015년 KG의 미네스타 복귀 후 첫 경기에서 12년 전 팬을 기억하고 장내 아나운서가 당시와 같이 댄스를 요청

Jiggly Boy는 두 아이의 아빠가 되었고, 마지못해 댄스를 추는듯하더니 당시와 같이 KG를 몸에 적고 'Welcome Home' 까지 써있네요.


한결같은 팬도, 이를 기억하는 구단 직원도, 또 멋지게 화답하는 KG도 모두 멋지네요.

보스턴 시절의 KG도 멋졌지만, KG는 미네소타 유니폼이 가장 어울리는것 같습니다.


P.S. 1995년에 잠실 외야석 좌익수 부근, 수많은 여학생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앉아있던 남자사람이 저였습니다. 7월 홈경기 거의 다 갔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 손흔들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2002년 코리안 시리즈 이후로는 야구를 잘 안보다가 2013년부터 다시 보게 됐네요. 코치로서도 응원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최근에 EBS 2 채널이 생겨, 영어로(자막도 영어) 영화를 방송해주더군요.

퇴근 후에 우연히 영화를 봤는데, 

제가 좋아하는 이완 맥그리거가 나와서 처음에는 별생각 없이 보다가 나중에는 '우아~'하고 감탄사를 연발했습니다.


영어라서..(자막도 영어 ㅠㅠ) 정확히 이해는 못했지만, 

이런저런 생각이 들게 만드는 영화인것 같습니다. 



영화가 끝난 후, 저는 어렸을적 보았던 '케빈은 12살' 드라마의 마지막 편이 생각났습니다.

(과거의 회상이란 면에서 공통점이 있군요.)

케빈은 나이에 비해 아직 외소한 몸에 특별히 잘 하는 것도 없고 우유부단해서 평소에는 그리 주목받지 못했는데, 그날은 홈런을 치고 환호를 받으며 홈에 들어오는 장면에서 케빈의 독백이 시작됩니다.

(이 대사도 오래된 기억이라 정확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과거의 일을 각자 기억하고 싶은대로 기억하고 있다. 어쨌든, 나는 나의 12살의 마지막 날을 이렇게 기억하고 있다.'



우리의 찬란했던 과거는 어쩌면 아직 진행 중인지도 모릅니다.

오늘은 미래에 간직될 나의 소중한 추억입니다.


혹은, 기억은 나 자신이 만들어가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덧) 오랜만에 글을 쓰니 짧은 글임에도 불구하고 내용이 왔다갔다 하네요. 자주 글을 써야겠습니다.

덧) '빅피쉬' 감독이 팀버튼이었군요. 역시..

덧) 글쓰고 '케빈은 12살' 스토리를 검색해보니, 제 기억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것 같네요. 역시 '각자 기억하고 싶은대로 기억'하나 봅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테이프가 닳도록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I remember, listened to music tapes wear out.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뭐라뭐라 한참 썼는데, 다 부질없는것 같아 간단하게 한줄 요약해봅니다.

제가 뭐 특별한 사람이라고 누구를 훈계하겠습니까? 면접 끝난 후 첫 느낌만 간단히 정리해 봅니다.


- 스타트업은 자유분방함이 장점이지, 상대방에게 자유분방하게 대하는게 아닙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Toyota Motorcar AD


야구 광고가 아니네요.

Wow. This ad is not baseball's ad.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페이스북에 한 교수님이 졸업한 제자로부터의 편지에 대한 답장을 올리신 내용을 보고 저도 저만의 솔루션을 한번 적어봅니다. 


1. 상사의 경조사, 기념일을 챙겨라.

대부분 리더가 팀원의 경조사나 기념일을 챙기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그 반대는 '왜?'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상사도 사람이고, 직급이 올라갈수록 외로운 자리인 경우가 많습니다. 동기들은 하나둘씩 떠나고, 위에서 누르고 밑에서는 치고 올라오고, 회사는 계속 다녀야겠고, 집에가도 편하지 않고 등등 대부분 상사의 연배가 되면 느끼는 것들을 아직은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먼저 인사하고, 말걸고, 친근감있게 대하면 그도 당신을 좋아할 것입니다.


2. 조언에 감사하라.

진심으로 감사하라는 말은 아닙니다. 조언을 할 경우, 얼어버리거나 얼굴이 붉거지면 당연히 조직 내 분위기또한 안좋아지기 마련입니다. '앗, 그렇군요. 제가 미숙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똑같은 실수 하지 않도록 주의하겠습니다.'라고 밝고 진지하게 대답하면 별거 아닌일로 끝날수도 있습니다.

사람 보는 눈이 다 비슷비슷 합니다. 내가 부당하게 질타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면, 주변에서도 그렇게 느끼고 있습니다. 다만, 그걸 밖으로 표출하느냐 안하느냐의 문제인데 대부분 밖으로 표출하지 않아도 주변에서도 같은 느낌을 갖고 있습니다. 폭발할것 같은 심정을 잘 버티면, 어느새 주변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을 것입니다.


3. 밥을 같이 먹어라.

저는 식사시간은 대충 떼우는걸 좋아하지만, 밥을 같이 먹는것에 의미를 두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무엇인가를 같이 한다는 것,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식사를 같이 한다는 것만으로도 공감대가 많이 형성되는것 같습니다. 대신, 밥먹으면서 아무말도 안하면 같이 식사 안하니만 못합니다. 그분의 관심사에 대해서 질문하고 공감하세요.

혹시, 상사가 흡연자이시면 건강에 무리가 안갈 정도로 한두번은 같이 따라나가셔서 말동무라도 해주세요. 비흡연자가 내가 담배피는데 심심할것 같다고 같이 나와주면 정말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이 생깁니다.(이건 효과는 좋지만 건강에는 안좋습니다.)


4. 버텨라.

한 조직에서 장기간 근속할 경우, 눈에 보이지 않는 힘이 생깁니다. 한 조직에서 10년이상 근속한 사람을 누가..건드릴 수 있겠습니까? (사장님 빼고..) 미운정이란 말이 괜히 생겨난 말이 아닙니다.


반응형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후기(스타트업 기업)  (1) 2015.05.11
Toyota Motorcar AD - G's Baseball Party  (0) 2015.04.22
팬이라면, 질타보다 격려와 응원을!  (0) 2015.04.08
타자 기록 용어 2편  (0) 2015.03.31
타자 기록 용어 1편  (0) 2015.03.24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어제(4월 7일, vs 한화)를 비롯해서 트윈스가 의외의 패배를 당하고 또 패전의 빌미 혹은 결정적 원인이 된 한 투수 이야기가 많이 오르내립니다.

아직 시즌 초반인데 너무 성급하게 비판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팬이라면, 질타보다 격려와 응원을!


저는 프로야구를 좋아하는 팬이고, 선수나 시합 경험이 없기 때문에 질타보다는 격려를 많이 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컨설턴트로서 재직해온 경험 때문인지, 대안이 없는 비판은 의미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누구보다도 당사자가 가장 힘들고 괴롭겠죠. 프로선수이기 때문에 어느정도는 감내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하지만, 팬들도 믿고 기다리고 응원하는 방법이 가장 좋아보입니다. 저나 저 외에 응원하는 분이나 많은 질타를 해주시는 분이나 다같이 트윈스를 좋아하는 팬이니까요.


슬로우스타터라면, 이렇게 해보는 것은?

마무리 투수라는 보직은 야구를 보면 볼수록 어려운 자리인 것 같습니다. 8이닝동안 많은 선수들이 쌓아온 승리가 한순간에 물거품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겠죠.

그렇다면 이런 방법은 어떨까요?

3점 이상 리드할 경우 9회에 투입, 3점 리드할 경우 9회에 투입, 2점 리드할 경우 9회에 투입.

이런식으로 경기감각을 유지하면서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도 좋을것 같습니다.


그밖에..

몇가지 의견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습니다.


1. 이동현을 마무리로

- 세이브와 홀드는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차라리 이동현 선수의 구위가 좋은 날은 굳이 봉중근 선수로 교체할 필요없이 길게 던지는 방법이 더 좋아보입니다.


2. 정찬헌을 마무리로

- 장기적으로는 찬성입니다만, 갑작스런 제구난조라던가 풀카운트 승부가 많다던가 하는 문제들은 봉중근 선수와 크게 다를바 없어 보입니다. 지금처럼 마무리를 양분하는 것도 봉중근 선수나 정찬헌 선수에게 압박감이 덜해 시너지 효과가 나는것 같습니다.


3. 2군에서 구위회복 후 복귀

- 박빙의 승부에서 봉중근 선수만큼 해 줄 선수가 있을까요? 2군에 가있는 동안 소위 말하는 갑툭튀선수 없으면 불가능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른 선수가 마무리 투수로서 버티느냐가 관건인데, 아직 준비가 된 투수가 없는 관계로 오히려 전력만 약화시키는 상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BB(Base on Balls, 볼넷)


IBB(Intentional Walks, 고의사구)


HBP(Hit By Pich, 몸에맞는 공)


SO(Strikeouts, 삼진 수)


GDP(Ground into Double Plays, 병살타)


OBP(On-Base Percentage, 출루율)

- 안타, 볼넷, 사구를 얻어 출루한 확률

- 출루/타석


SLG(Slugging Percentage, 장타율)



OPS(On-base Plus Slugging Percentage)

- OBP + SLG (출루율+장타율)

- 출루율과 장타율이 높으면 팀 득점에 기여가 높은 것으로 판단


E(Error, 실책)


SB%(Stolen Base Percentage, 도루성공율)


MH


RISP (Runners In Scoring Position, 득점권 타율)

- 득점찬스 즉, 주자가 2, 3루 시 타율

- RISP가 높으면 찬스에 강한 타자

- RISP는 경우의 수가 많을 수록 결국 평균(타율)에 수렴한다는 의견도 있음


PH-BA(Pinch Hitter ..)

반응형
Posted by So Good!
,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반응형

아래 기록표 기준

- 1편에서는 첫줄, 2편에서는 두번째 줄



AVG(Batting Average, 타율)

- 희생타, 볼넷, 사구를 제외한 타수 즉 타석에서 안타를 기록한 수

- 안타 수/타석


G(Games played, 출전 경기 수)


PA(Plate Appearances, 타석 수)


AB(At Bats, 타수)

- 전체 타석 중 희생타, 볼넷, 사구(몸에 맞는 볼)을 제외하고 타격을 한 수


R(Run scored, 득점)

- 홈을 밟아 점수를 낸 경우


H(Hit, 안타)

- 수비실책이 아닌 타격으로 출루한 경우


2B(Double, 2루타)

- 안타가 2루타인 경우


3B

- 안타가 3루타인 경우


HR

- 안타가 홈런인 경우

- 좌, 우측 안쪽의 펜스 뒤로 넘어간 경우

- 타격을 한 후 해당 타격에서 홈을 밟은 경우


TB(Total Bases, 안타로 인한 총 루 수)


RBI(Runs Ratted In, 타점)

- 안타, 볼넷, 사구로 인해 주자가 홈을 밟아 득점한 경우

- 1득점 당 1타점


SB(Stolen Bases, 도루 성공 횟수)


CS(Caught Stealing, 도루 실패 횟수)


SAC(SACrifice, 희생번트)

- 주자 진루를 위해 번트를 성공한 경우


SF(Sacrifice Files, 희생 플라이)

- 타격을 하였으나 아웃이 되고, 주자가 진루한 경우


반응형
Posted by So Good!
,